이 아티클은 <요즘 팀장들이 겪는 6가지 어려움> 시리즈의 2화입니다. ‘팀원들을 신뢰하고 좋은 팀을 만들어야 하는 것은 알겠는데, 진짜 역량이 떨어지는 팀원은 어떻게 하죠?’
‘아무리 칭찬하고 격려해줘도 나아지는 게 없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리더십에 대해 고민하다 보면 맞닥뜨리게 되는 어려운 숙제이다. 리더십에 대해 애쓰고 고민할수록 이런 팀원들은 더 답이 없다고 느껴진다. 팀원들을 신뢰하고 지지하는 리더십을 발휘하겠다는 마음에는 상처만 쌓이는 경우도 많다. 결국 배우고 훈련한 것과 다른 이상한 리더십의 모습으로 회귀하게 된다.
문제는 이런 팀원은 늘 존재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마음을 불편하게 하고 역량이 떨어지는 팀원은 늘 존재한다. 리더십의 고민이 없거나 노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어떤 때는 밤 잠을 설치며 고민한다. 아침에 눈을 뜨면 너무 고민이 되어 출근하는 것이 두렵다고 말하기도 한다. 어떻게 피드백 해줘야 할지 고민되고 막상 피드백할 때는 대화가 잘 안되거나 겉도는 대화만 하다 끝나기도 한다.
역량이 떨어지는 팀원에게 발휘할 리더십은?
이런 팀원들에게 어떤 리더십을 발휘할 지 생각하기에 앞 서 한가지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질문이 있다.
‘나는 팀원들을 얼마나 신뢰하는가?’
단순히 리더로서 조금 이해하고 양보하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팀원에 대해 진심으로 신뢰하고 기대하고 있는가를 말하는 것이다. 만약 여기서 Yes라고 대답할 수 없다면 팀원의 역량에 대한 평가는 잠시 보류해야 한다. 그리고 팀원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것을 먼저 시도해야 한다.
신뢰가 기반되지 않는 리더십 안에서는 팀원의 역량을 이끌어 낼 수 없다. 신뢰의 부족은 팀원의 행동에 대한 왜곡된 해석을 가져오고 비정상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특별히 표현하지 않아도 팀원에게는 불신에 대한 단서들이 전달되고 팀원의 심리적 안정감은 깨어진다. 리더 자신은 눈치채지 못하지만 말 한마디 사소한 제스쳐가 이미 팀원에게 매우 위협적으로 다가가고 있다. 이런 경우 팀원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의 50%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때문에 팀원의 역량이 의심이 되어 같이 일하는 것이 불편하다면 다음 질문들을 통해 진짜 팀원을 신뢰하고 있는지 먼저 점검해보아야 한다.
Q1. 이 팀원도 스스로 일을 잘하고 싶어한다고 생각한다.Q2. 내가 보지 않을 때 이 팀원은 스스로 열심히 일할 것이다.Q3. 이 팀원은 현재 최선을 다하고 있을 것이다.Q4. 이 팀원에게도 내가 찾지 못한 숨겨진 강점이 있을 것이다.Q5. 이 팀원에게 지금 내가 느끼고 있는 감정을 솔직하게 말할 수 있다.Q6. 이 팀원도 진짜 행복해졌으면 좋겠다.몇가지나 Yes라고 생각하는가? 만약 확신 있게 Yes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 50%가 넘지 않는다면 팀원에 대한 신뢰의 문제가 이미 발생하고 있을 수 있다.
배려하고 양보하는 것이 답?
신뢰의 문제는 배려하고 양보하겠다는 마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어느 정도 신뢰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신뢰는 금방 깨어진다. 이렇게 깨어진 신뢰는 오히려 독이 되어 배신감을 느끼게 만들거나 확고한 불신이 되기도 한다. 결국 팀원의 작은 행동도 믿을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상대방의 무능을 사실로 규정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최선을 다해봤지만 너무 무능해서 같이 일하고 싶지 않는 팀원이라고 합리화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