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Product UX 팀
Product UX 팀에 콘텐츠 전략가가 생겨난 배경
앱 화면 안에서 글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쿠팡 앱에서는 상품 정보, 배송 정보, 결제 방법, 메뉴/기능명, 오류 안내 등 많은 정보가 글로 전달되고 있다. 글이 없다면 우리는 화면의 이미지나 특정 아이콘, 기능을 얼마나 이해할 수 있을까? 글은 이미지만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기능을 정확하게 설명해 고객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수단이다. 따라서 온라인에서의 고객 경험을 설계할 때 비주얼뿐만 아니라 글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도 깊은 고민과 전략이 필요하다.
쿠팡 UX 팀에 프로덕트 설계 과정에서 글을 활용해 고객과 커뮤니케이션하는 고객 경험 글쓰기 전문가 ‘UX 콘텐츠 전략가’가 존재하는 이유도 이와 같다. UX 콘텐츠 전략가는 고객 관점에서 글쓰기 방법을 연구하고 글로 솔루션을 제공하는 UX 전문가를 말한다.
쿠팡 앱을 여러 팀이 함께 만드는 영화 한 편에 빗대어 보면 PO는 작품을 기획하고 현장을 지휘하는 감독, 디자이너는 작품에 무드와 생동감을 불어넣는 촬영과 아트 디렉팅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 전략가는 대사를 통해 캐릭터를 구축하고 움직이게 만드는 시나리오 작가인 셈이다. 캐릭터가 매력적이고 스토리가 짜임새 있을수록 관객이 작품에 더 몰입하듯, 고객 경험에서도 마찬가지다. 콘텐츠 전략가는 글이라는 도구로 쿠팡이라는 캐릭터의 아이덴티티를 만들고 상황에 따른 전략을 구축해 고객이 서비스에 몰입할 수 있는 흐름을 구성해 나간다.
서비스 목소리 정의하기
쿠팡은 왜 그렇게 말할까?
시나리오 작가는 글쓰기에 앞서 브랜드 캐릭터부터 설정한다. 캐릭터는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 말하고 행동할지에 대한 기준이 된다. 쿠팡이라는 캐릭터를 설정할 때에도 서비스의 핵심 가치를 담아낼 수 있는 ‘목소리와 말투’를 먼저 정의해야 했다. 목소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신중하고 섬세하게 접근해야 한다. 목소리를 정의하기에 앞서 콘텐츠 전략가는 고객이 쿠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부터 살펴봤다.
조사 결과 고객은 쿠팡을 빠르면서도 저렴하고 쓰기 편한 서비스로 여기고 있었다. 누구나 일상에 필요한 다양한 상품을 빠르고, 저렴하고, 쉽게 살 수 있는 서비스. 쿠팡의 핵심 가치는 바로 ‘실용주의’였다. 이 핵심 가치를 잘 전달하려면 쿠팡의 목소리는 쉽고, 명확하고, 믿음직스러워야 했다. 쿠팡은 이 세 가지 목소리를 통해 고객으로 하여금 오랜 시간 신뢰하며 거래할 수 있는 대상으로 느껴지길 바랐다. 마치 뛰어난 공감 능력으로 고객의 마음을 읽고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하는 점원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