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셔터스톡
프리랜서가 몸담은 과거의 프로젝트는 오늘의 작업으로 이어지고요. 그것은 다시 미래의 새로운 일로 연결됩니다. 따라서 프리랜서 세상에 살고 있는 분이라면, 프로젝트를 선택할 때 그 무엇보다 심혈을 기울여야 할 거예요.
여러분이 만일 이제 막 출발선에 선 초보 프리랜서라면, 이곳이 제대로 된 출발선이 맞긴 한 건지, 언제 어떻게 출발해야 하는지 여러 가지 선택과 고민에 빠지게 될 겁니다.
그러나 프리랜서에게 시간은 곧 페이로 직결되기 때문에, 초보 프리랜서들이 되도록 실패의 횟수는 줄이고 오롯이 나를 위한 프로젝트를 찾을 수 있도록, 오늘 특급 팁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 셔터스톡
첫 번째 프로젝트 = 포트폴리오에 도움이 되는 프로젝트!
지금 고민 중인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을 때 맡게 되는 주된 업무가 나의 포트폴리오에 도움이 될 만한 프로젝트인지 따져 봐야 합니다.
먼저 내가 가진 전문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어야 하고요. 그다음은 프로젝트를 마무리했을 때 업무 능력이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게 좋습니다. 기왕이면 대기업에서 진행하는 규모가 큰 프로젝트가 좋겠죠. 왜냐하면, 큰 프로젝트일수록 그 안에서 여러분의 직무 파트가 명확하게 드러나고, 다음 프로젝트 진행 시에 클라이언트에서 어필할 수 있는 무기가 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처음부터 내가 원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계약하기는 어려울 거예요. 하지만 하나의 계약을 끝내고 새로운 계약을 준비할 때 규모를 확장해야 한다는 직무 철학을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첫 번째 프로젝트에서 선택하고 집중할 것은 돈이 아닌 본질!
누구나 일을 함으로써 받고 싶어 하는 크기의 돈이 있습니다. 하지만 당신이 이제 막 프리랜서 세상에 발을 내딛은 초보라면 내 마음에 드는 페이를 받는 건 쉽지 않을 테죠. 그렇다면 이때 우리가 선택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돈이 아닌 프로젝트 자체의 본질입니다. 페이가 조금 낮아도 앞서 얘기 나눈 포트폴리오에 도움이 되는 프로젝트라면, 이 업무를 발판으로 몸값을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우는 겁니다.
비상주 vs 상주,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한다면?
초보 프리랜서의 경우에는 비상주보다는 상주를 추천합니다. 물론 다양한 경력을 가진 프리랜서는 원격 근무에도 무리가 없겠지만요. 그러나 초보의 경우에 원격으로 근무하게 되면 스스로 프로젝트를 리딩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요. 상주의 경우에는 안정적이면서도 클라이언트와의 커뮤니케이션 난이도가 낮고 경험치 제로에서 오는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