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역시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처음이었다. 일 잘하는 사람이 아닌, 일 제일 잘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성장하기 위해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것들에 매진했다. 사이드 프로젝트로 전에 없던 앱을 출시하기도, 프로덕트 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해 자신만의 관점으로 풀어 보기도, 그 모든 기타 등등의 경험을 하나도 빠짐없이 글로 기록하기도 했다. 그런 새로운 시도와 경험이 지금의 그를 있게 했다. 일 제일 잘하는 디자이너에서 그치지 않고, 누군가에게 영감과 자극을 주는 시니어 프로덕트 디자이너로서의 모습으로 말이다.
불안, 떨칠 수 없다면
기꺼이 안고 달리다
Q. 늦은 안부 인사를 나눠 볼게요. 은비 님은 2017년 태국 여행을 다녀오셨어요. 필름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들이 무척 멋지다고 생각했는데요. 태국 여행은 어떤 계기로 다녀오시게 되었나요?
A. 그 당시 심적으로 지쳐있었어요. 힘든 마음을 어딘가 내려놓고 싶어 특별한 계획 없이 태국행 비행기에 올랐어요. 6박 7일 동안의 짧지 않은 여행이었지만, 물먹은듯한 무거운 힘듦이 덜어지진 않았어요. 대신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 정리가 되었어요. 집으로 돌아와 그 생각들을 하나씩 실행으로 옮겼어요. 그리고 깨달았죠. 문제가 생겼다고 여행지로 도망칠 필요는 없다는 것을요.
리디 홈 화면 리뉴얼 모습 ⓒ한은비
Q. 직무를 막론하고, 이직할 곳을 선택할 때 ‘내가 이 기업 서비스(브랜드)를 즐겨(좋아)하는가’ 혹은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가’를 고려할 수밖에 없는듯해요. 은비 님이 리디 입사를 결정하신 주요한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A. 제가 책을 좋아하기도 하고, 유저로서 리디에 애정이 있었어요. 리디를 꾸준히 지켜보는데 리디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에 공감하게 되더라고요. 또, 지금까지 잘 해온 사업에 기대며 수익에만 치우쳐진 기업이 아니라, 콘텐츠 플랫폼으로서 여러 사업을 모색하는 기업이라는 점도 입사를 결정한 이유 중 하나였어요.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회사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곳이라 생각했기 때문이에요.
Q. 아직 프로젝트 경험이 없는 신입 혹은 이직을 고려 중인 구직자가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커리어를 시작하고 싶다면 무엇부터,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까요?
A. 현실적으로 제일 중요한 건 포트폴리오예요. “또 포트폴리오 이야기인가?”라는 생각이 들 만큼 지겹게 느껴지실 거예요. 그래도, 제가 무언가 조언해야 한다면, 내가 실무 경험이 없는 신입일 경우, 한 가지 서비스(제품)를 선택하고,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최대한 구멍이 보이지 않도록 명확하고 철저한 근거를 바탕으로 정리해 보기를 바라요. 그리고 이를, 포트폴리오와 면접에서 활용해 보는 거예요.
저는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되기까지 건축 디자인 등 여러 디자인 분야를 경험했는데요. 당시에는 내 커리어와 관련 없어 보였던 경험들이 결국엔 조금씩 다 도움이 되었어요. 다른 분들도 저처럼 그동안 프로덕트 디자인과 관련 없는 일을 해왔더라도 분명히 그 안에 도움이 되는 구석이 있을 거예요. 곰곰이 생각해서 포트폴리오나 자기소개서에 활용해 보면 좋겠어요.
Q. 이젠 직무와 상관없이 모두가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중요해졌어요. 그래도, 제품 가까이에서 일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에게는 유독 더 중요할 것 같은데요. 다른 부서 구성원들과 커뮤니케이션 잘하는 은비 님만의 노하우가 있을까요?
A. 저도 커뮤니케이션을 더 잘하기 위해 회사 구성원 중 커뮤니케이션 잘하는 사람들의 태도를 관찰해 보고는 해요. 많은 사람과 대화를 막힘 없이 또렷하게, 그리고 배려 깊게 이어나가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경청을 잘한다는 점이에요. 만약 상대가 틀린 말을 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말을 하더라도 우선 끝까지 다 듣고 자신의 의견을 말하더라고요. 내가 말을 잘하기 위해선 우선 잘 들으려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달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