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웹툰을 원작으로 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마스크걸>은 드라마 공개 2주 만에 비영어권 TV 부문 주간 시청 시간 1위를 기록했다. <마스크걸>은 오프닝부터 작품의 기하학적인 분위기와 등장 인물의 기괴한 심리를 그래픽을 통해 연출하며 작품에 대한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이렇듯 작품의 가장 앞선에서 몰입도를 디자인하는 사람은 작품의 질곡을 어떻게 이해하며 이를 간명하게 표현하고 있을까.
Q. 안녕하세요, 지나 님. 요즘 어떻게 지내시나요?
A. 계속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정신없이 바쁘게 지내고 있습니다.
Q. 지나 님께서는 현재 모션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하고 계시는데요. 처음부터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커리어를 시작하셨나요?
A. ‘처음’이라는 시점을 학창 시절로 한다면, 관심은커녕 모션 그래픽이라는 분야를 알지 못했어요. 제 학창 시절에 영상은 영화와 드라마 그리고 UCC 형식으로 촬영하는 콘텐츠고(CG는 별개의 영역), 디자인은 곧 패션 디자인이라는 인식이 컸기 때문에 저와 같은 일반인에게 모션 그래픽 디자인은 생소할 수밖에 없었어요.
Q. 제 학생 시절을 돌이켜 생각해 보니 저 역시 그땐 모션 그래픽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 같네요. 그럼 어쩌다 디자인 세계에 들어오시게 된 건가요?
A. 저는 어렸을 때 만화를 좋아해 그림 그리는 게 취미였지만, 그림으로 직업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어요. 다들 자연스럽게 가는 인문계 고등학교에 진학해 평범하게 공부하다 학교 교문 앞에서 나눠주는 디자인 입시 미술 학원 홍보 공책을 보고 ‘그림으로 직업을 삼을 수 있는 게 디자인인가 보다.’라고 막연히 생각했죠. 그 공책을 계기로 입시 미술 학원을 다니게 됐고 (디지털 콘텐츠) 디자인과로 대학교에 진학했어요. 대학교에서 UX/UI, 모션, 3D를 공부하던 중 영화 속 CG에 관심이 생겨 VFX(Visual Effect, 시각 특수 효과) 분야를 공부하고 싶었지만, 부모님께 휴학 후 학원을 다니겠다고 말했다가 퇴짜를 맞았어요.(웃음) 영화와 관련된 일 중 내가 배운 것을 활용할 수 있는 분야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를 알게 됐어요. 2013년 ‘광주 ACE Fair’ 카일 쿠퍼* 강연과 현재 재직 중인 회사 ‘언디자인드뮤지엄’ 대표님(SIXOKLOK)의 작업물이 제가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를 하고 싶다고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됐고, 그걸 하기 위해 모션 그래픽 디자인을 업으로 삼고 시작하게 됐습니다.
*카일 쿠퍼(Kyle Cooper) : 영화 오프닝 시퀀스로 유명한 모션 그래픽 디자이너
Q. 본업에서는 내가 하고 싶은 대로(취향대로) 작업을 핸들링하기 어렵잖아요. 그래서, 지나 님의 개인 작업물이 더욱 궁금해져요. 보통 어떤 스타일의 작업을 선호하시나요?
A. 아쉽지만 저는 개인 작업을 하고 있지 않아요. 물론 하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본업이 바쁘기도 하고 특정 스타일을 선호하기보다 모든 스타일을 다 한 번쯤 경험해 보고 싶은 편이에요. 그래서, 이를 본업에서 여러 작품을 만나며 실현하고 있어요. 그렇지만, 작업 과정에서 제가 원하는 방향을 벗어날 때도 있고 작품의 방향성이나 분위기에 따라야 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에 시간적 여유가 생긴다면 제가 해 보지 못한 스타일을 개인 작업으로 풀어 보고 싶어요. 요즘 도전해 보고 싶은 스타일은 3D에 2D 페인팅 텍스처를 입힌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시리즈 <아케인>과 같은 스타일입니다.
A. <마스크걸>은 기획 단계가 길었던 프로젝트였어요. 작품이 워낙 독특하고 강한 소재면서 감독님께서 이 작품이 보여 주는 인간의 이중성과 양면성을 은유와 상징으로 오프닝에 담아냈으면 좋겠다고 하셨는데요. 콘셉트부터 스토리보드까지 여러 번의 수정을 거치면서 작업했습니다. 너무 직접적이거나 함축적이지 않은 오브제의 중간점을 찾는 데 어려웠거든요.
톤앤매너에 대해서도 고민이 컸어요. 시나리오와 초반 편집본을 보고 저는 어둡고 무거운 느낌을 받아 그런 이미지로 작업을 진행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드라마 로고를 전달 받고 조금 혼란스러웠어요. 로고 스타일이 만화적이고 발랄한 느낌이라 제가 떠올리고 있었던 이미지들과 너무 달랐기 때문이에요. 작품이 공개되고 보니 로고와 작품이 찰떡으로 어울렸지만, 오프닝 시퀀스 기획 초반에는 ‘내가 생각했던 방향에서 어떻게 맞춰 나가야 할까.’ ‘로고와 너무 다른 스타일로 만들면 안 될 텐데.’라는 고민을 했어요. 그래서, <마스크걸> 로고에 쓰인 3가지 키(Key) 컬러와 비슷한 결의 색상들로 컬러 칩을 만들고, 로고에 사용된 반짝이를 여러 도형과 함께 활용해 오프닝에 녹여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