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을 오래 붙잡는 앱, 업종별 1위는?

글ㅣ이성봉 아웃스탠딩 기자

고객을 오래 붙잡는 앱, 업종별 1위는?

일자

상시
유형
아티클
태그
이 아티클은 <아웃스탠딩 X 원티드> 시리즈의 17화입니다. 

당신을 오래 붙잡을 앱

 
어떤 앱이 이용자를 오랫동안
붙잡아둘까요?

보통 앱의 경쟁력을 볼 때
MAU, 월간 활성 이용자 수를 봅니다.

MAU는 한 달에 한번 이상 접속한
사람을 세는 겁니다.

이러한 단일 기준은 앱을 평가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데요.

이 때문에 앱 '체류시간'을
함께 보는 분들도 있습니다.

고객이 앱에 얼마나 머무는지 보는 '체류시간'은
구매 전환, 광고 효과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언제나 매출 상승을 이끄는 건 아니지만,
기회를 만드는 조건이라고 볼 수 있죠.

이번 기사에서는 2023년에
사용시간이 길었던 앱을 정리해봤습니다.

*관련 자료는 국내 애드테크 회사
IGA웍스가 운영하는 모바일 트래픽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로부터 받았는데요.

몇 가지 한계점이 있어 미리 공유합니다.

분석 데이터 특성상 실제와
100% 맞지 않을 수 있다는 점,

특히 소규모 서비스일수록
오차 가능성이 크다는 점,

해외 트래픽이
잡히지 않는다는 점,

실제 비즈니스에 유의미한 정도를
파악할 수 없다는 점 등입니다.

다만, 주변 취재원 및 실무자들 사이에서는

모바일인덱스가 비슷한 솔루션 중에서
신뢰도가 꽤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업계 동향을 파악하기엔
나름대로 유의미한 데이터라고 생각합니다.

카테고리 분류는 기본적으로
모바일인덱스의 기준을 따르지만,
일부 조정이 있었습니다.

1. 동영상스트리밍: 유튜브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동영상 스트리밍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유튜브'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유튜브 앱에
182억85만3322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36.9시간이었습니다. 

대부분 하루 1시간 이상은 유튜브를
시청한다는 의미입니다.

2. 메신저/전화/영상통화

: 카카오톡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메신저/통화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카카오톡'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카카오톡 앱에
61억4039만8369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2시간이었습니다.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의 위엄이
느껴지는 데이터입니다.

3. 인터넷/브라우저

: 네이버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인터넷/브라우저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네이버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네이버 앱에
40억727만1805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8시간이었습니다. 

검색량으로 볼 때,
구글이 바짝 추격하고 있는데요.

앱 사용에서는 여전히
네이버가 압도적이었습니다.

4. SNS/커뮤니티

: 인스타그램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SNS/커뮤니티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인스타그램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인스타그램 앱에
26억9427만3432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1.9시간이었습니다. 

2위인 페이스북보다
약 4배 길었습니다.

5. 지도/네비게이션

: 티맵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지도/네비게이션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티맵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티맵 앱에
11억7665만8395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7시간이었습니다. 

티맵은 네비게이션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6. 만화/웹소설

: 네이버웹툰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만화/웹소설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네이버웹툰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네이버웹툰 앱에
7억5814만6834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7.5시간이었습니다. 

카카오페이지와 1위 자리를 두고
엎치락뒤치락했는데요.

네이버웹툰은 이용 시간의 등락이 적었고요.
카카오페이지는 조금 하락하면서 네이버웹툰에
자리를 내줬습니다.

7. 소셜커머스/오픈마켓

: 쿠팡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소셜커머스/오픈마켓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쿠팡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쿠팡 앱에
6억3369만8133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9시간이었습니다. 

이미 1100만명의 유료 구독자가 있는데요.
이용 시간이 1년 동안 더 늘었습니다.

8. 중고거래

: 당근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중고거래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당근(마켓)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당근 앱에
4억1440만2186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2.2시간이었습니다. 

큰 등락 없이 비슷한 수준을
1년 내내 유지했습니다.

9. 개인방송

: 아프리카TV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개인방송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아프리카TV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아프리카TV앱에
3억9209만4102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6.15시간이었습니다. 

트위치 철수로 이용 시간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10. 은행

: 토스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은행/뱅킹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토스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토스 앱에
3억4842만9782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9시간이었습니다. 

전통 은행들의 앱과 비교해
압도적인 차이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11. 식음료 판매

: 올웨이즈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식음료판매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올웨이즈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올웨이즈 앱에
2억7681만9643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8.7시간이었습니다. 

1인당 이용 시간은
쿠팡(1.9시간)보다 길었습니다.

인앱게임 '올팜'이 
앱 이용 시간을 크게 끌어올렸습니다.

(참조 - 요즘 핫한 커머스 올웨이즈를 둘러싼 의문점 4가지)

(참조 - 이커머스에 게임을 넣으면 돈이 될까요?)

12. 배달

: 배달의민족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배달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배달의민족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배달의민족 앱에
2억6385만3484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1시간이었습니다. 

배달 시장의 전체 주문량이 줄었지만,
이용자 수, 이용 시간을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했습니다.

(참조 - 흔들리는 '배민'에서 '쿠팡이츠'의 향기가 느껴진 이유)

(참조 - 배달의민족이 흑자 전환에도 걱정하는 것 5가지)

13. 게임

: 리니지M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게임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리니지M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리니지M 앱에
2억4033만4386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08.5시간이었습니다. 

2023년 하반기 '로얄 매치'에게 이용시간
1위 자리를 내줬는데요.

2023년 전체 이용시간에서는
리니지M이 조금 더 길었습니다.

(참조 - 엔씨는 리니지 망령을 떨쳐낼 수 있을까(feat. 지스타))

14. 가상자산

: 업비트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가상자산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업비트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업비트 앱에
1억7073만4363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4.4시간이었습니다. 

비트코인 ETF 승인, 2024년 반감기 등
업계 호재 덕분에 거래량이 늘면서
이용 시간도 증가했습니다.

(참조 - 비트코인 신앙심이 무너지지 않을 이유 4가지)

15. 기록/일정

: 삼성캘린더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기록/일정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삼성캘린더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삼성캘린더 앱에
1억2145만7051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25.4분이었습니다. 

삼성 '갤럭시' 시리즈의 기본 일정 앱이라는 점이
이용 시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16. 음악

: 멜론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음악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멜론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멜론 앱에
1억1976만7820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5시간이었습니다. 

음원 스트리밍 앱 이용자 수, 이용 시간은
통신사 가입자 수에 영향을 받습니다.

알뜰폰 통신사와 유튜브뮤직의 등장으로
이용자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조 - 자꾸만 MAU가 떨어지는 서비스 15개)

17. 투자/증권

: 키움증권 영웅문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투자/증권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키움증권 영웅문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키움증권 영웅문 앱에
1억1111만3483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4.3시간이었습니다. 

이용 시간이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주식 시장 상황이 영향을 미칩니다.

18. 리워드

: 타임스프레드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리워드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타임스프레드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타임스프레드 앱에
9499만2097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6.4시간이었습니다. 

이 분야의 2위는 SK플래닛의 '오락',
3위는 '캐시슬라이드 스텝업'이었습니다.

19. 해외직구

: 알리익스프레스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해외직구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알리익스프레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알리익스프레스 앱에
8288만874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9시간이었습니다. 

중국 이커머스 돌풍을 이끈
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참조 - 알리익스프레스 상품은 짝퉁이라서 싼 걸까요?)

(참조 - 위협하는 중국 이커머스, 약점 파고드는 쿠팡)

 

20. 송금/결제

: 삼성페이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송금/결제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삼성페이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삼성페이 앱에
5481만7532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6.7분이었습니다. 

2위인 카카오페이보다 4배 이상
이용시간이 길었습니다. 

(참조 - 스마트폰이 꺼져도 왜 삼성페이 교통카드는 되는 걸까?)


21. 여성의류

: 에이블리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여성의류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에이블리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에이블리 앱에
4310만5940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57.5분이었습니다. 

2위인 지그재그(카카오스타일)가
주춤하는 사이 점유율을 높였습니다.

(참조 - 패션커머스 MAU, 매출액, 영업이익 순위가 제각각인 이유)

22. 유아

: 키즈노트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유아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키즈노트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키즈노트 앱에
3967만8566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7시간이었습니다. 

유아 분야에서 경쟁자가 없을 정도로
압도적인 점유율(약 60%)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3. 택시

: 카카오T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택시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카카오T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카카오T 앱에
3607만8716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5.2분이었습니다. 

종합모빌리티 앱이지만, 택시 호출 기능이
이용 시간에 차지하는 비중이 큽니다.

(참조 - 카카오택시가 욕먹을 걸 알면서 '팁'을 받는 이유)

24. 어학사전/번역기

: 네이버 파파고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어학사전/번역기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네이버파파고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네이버파파고 앱에
3332만9751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28.4분이었습니다. 

구글 번역기(약 10%)와 비교해
압도적인 점유율(약 60%)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참조 - "딥엘 기대 이하, 똑똑한 챗GPT, 발전 없는 구글-파파고".. 해커스 강사의 비교실험)

25. 종합패션몰

: 무신사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종합패션몰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무신사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무신사 앱에
3040만6270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38.3분이었습니다. 

블랙프라이데이 이벤트가 열린
11월에 이용 시간이 크게 몰렸습니다.

여기까지 25개 업종별 1위 앱을 살펴봤습니다.
잠시 숨을 고르시고요. 물도 한잔 해주세요.

그러면 바로 나머지 25개 업종별
1위 앱 소개하겠습니다.

26. 가구/인테리어

: 오늘의집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가구/인테리어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오늘의집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오늘이집 앱에
2835만7821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43.1분이었습니다. 

오늘의집 이용자 수와 이용 시간은
부동산 거래량, 이사 주기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참조 - '오늘의집'이 빠진 비즈니스 딜레마 5가지)

27. 구인/구직: 알바몬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구인/구직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알바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알바몬 앱에
2125만3786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44.4분이었습니다. 

2위인 알바천국보다 10% 이상
점유율이 높습니다.


28. 팬덤: 뮤빗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팬덤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뮤빗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뮤빗 앱에
1765만455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9.1시간이었습니다. 

이용자 수로 보면,
하이브의 '위버스'가 1위인데요.

뮤빗의 K팝 관련 동영상 클립 서비스,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등으로 인해
이용시간이 긴 것으로 보입니다.

29. 클라우드

: 구글 드라이브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클라우드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구글드라이브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구글드라이브 앱에
1738만8139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1.7분이었습니다. 

2023년 내내 1위 자리를 지켰는데요.
2위인 네이버마이박스가 바짝 추격 중입니다.

30. 메이크업/화장품

: 올리브영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메이크업/화장품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올리브영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올리브영 앱에
1710만5012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22.3분이었습니다. 

올리브영은 세일 기간에 따라
월 이용 시간 격차가 컸습니다.

(참조 - 오프라인 기반 유통기업 중 왜 올리브영만 디지털 전환에 성공했을까?)

31. 카메라

: 스노우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카메라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스노우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스노우 앱에
1686만6183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8.2분이었습니다. 

카메라 분야에서 점유율 30%로
압도적인 1위입니다.

AI사진이 화제가 됐지만, 이용 시간은
점점 하락했습니다.

(참조 - SNS 뒤덮은 AI 이어북 사진, 스노우의 미래를 밝힐 수 있을까요?)

32. 이메일

: 지메일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이메일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지메일(G-mail)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지메일 앱에
1457만329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5.8분이었습니다. 

이 분야에서 점유율 약 43%로
압도적인 수치를 나타냈습니다.

33. 숙박: 여기어때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숙박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여기어때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여기어때 앱에
1391만3475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20.6분이었습니다. 

이용자 수는 야놀자가 더 많았는데요.
이용 시간에서는 여기어때가 야놀자를
약간 앞섰습니다.

월별로 보면 야놀자가 1위였던 1월, 4월을
제외하고 매달 1위를 차지했습니다.

34. 미술

: 이비스 페인트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미술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이비스페인트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이비스페인트 앱에
1384만1913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2.2시간이었습니다. 

일본의 '아이비스'에서 개발한 그래픽 툴인데요.
무료 툴 중 손꼽히는 앱입니다.

35. 골프

: 골프존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골프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골프존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골프존 앱에
1026만8976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34분이었습니다. 

골프 분야 앱 중
55%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참조 - 골프산업이 제2도약기 맞은 이유 8가지)

36: 부동산

: 네이버 부동산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부동산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네이버부동산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네이버부동산 앱에
998만2434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40.5분이었습니다. 

3월부터 직방을 누르고 1위를 차지했고요.
12월까지 1위 자리를 지켰습니다.

12월 네이버부동산과 직방의 이용시간
점유율 차이는 0.1%였습니다.

그 뒤를 호갱노노가 2% 뒤에서
추격하고 있습니다.

37. 요리

: 요리백과 만개의레시피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요리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요리백과 만개의레시피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만개의레시피 앱에
894만4753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49.3분이었습니다. 

레시피계의 원톱 앱입니다.
점유율은 90% 수준입니다.

38. 생활용품

: 아이디어스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생활용품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아이디어스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아이디어스 앱에
893만4727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29분이었습니다. 

국내 최대 핸드메이드 제품 쇼핑몰입니다. 

(참조 - 핸드메이드 시장이 정말 그렇게 큰가요? 200억 투자받은 '아이디어스' 인터뷰)

39. 영어

: 듀오링고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영어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듀오링고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앱에
882만8270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4.5시간이었습니다. 

이용자 수는 말해보카가 가장 많았는데요.
이용 시간 면에서 듀오링고가 앞섰습니다.

(참조 - 상장을 앞둔 초록 부엉이, '듀오링고'의 성장 스토리)

40. 보안

: 알약M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보안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알약M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알약M 앱에
815만1555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7.1분이었습니다. 

2위인 V3모바일플러스보다 20% 이상
점유율이 높았습니다.

41. 중고차: 엔카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중고차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엔카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엔카 앱에
809만4938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47.8분이었습니다. 

중고차 분야에서 2위는 보배드림,
3위는 케이카로 나타났습니다.

42. 영상편집

: 캡컷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영상편집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캡컷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캡컷 앱에
603만2847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1시간이었습니다. 

바이트댄스가 만든 편집기입니다.

영상 편집에 필요한 필터, 시각 효과,
템플릿, 음악 등을 제공하는데요.

10분 길이 영상을 매우 빠른 속도로
제작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43. 가계부

: 편한 가계부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가계부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편한가계부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편한가계부 앱에
525만3597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35.2분이었습니다.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알림과 문자가
자동으로 앱에 저장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점유율은 2위인 뱅크샐러드(17%)보다
약 15% 높습니다.

44. 소개팅/채팅

: 틴더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소개팅/채팅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틴더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틴더 앱에
483만5297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2.1시간이었습니다. 

글램, 톡친구만들기, 미프, 위피 등과 비교해
점유율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45. 운세/점

:점신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운세/점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점신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점신 앱에
370만1901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25.5분이었습니다. 

연말연초에 이용자 수, 이용 시간이
급증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46. 임신/출산

: 마미톡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임신/출산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마미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앱에
351만9555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5시간이었습니다. 

2022년 상반기까지는
이 분야 '세이베베'가 1위였는데요.

2022년 하반기부터 마미톡이 앞질렀고요.
점유율 40%를 차지했습니다.

(참조 - 2022년에 1위와 2위가 뒤바뀐 22개 업종 살펴보기(앱 MAU 기준))

47. 재능공유

: 숨고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재능공유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숨고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숨고 앱에
335만3568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34분이었습니다. 

크몽과 비교하면 약 5배 이상
이용 시간이 길었습니다.

(참조 - 숨고가 이용자 불만에도 비즈니스 모델을 고집하는 이유)

48. 카셰어링

: 쏘카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카셰어링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쏘카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쏘카 앱에
254만9989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6.2분이었습니다. 

경쟁사들의 힘이 약해지면서,
압도적인 시장 지배자(점유율 약 70%)가 됐습니다.

(참조 - 쏘카와 롯데렌탈 중 누가 조급할까)

 

49. 명품패션

: 트렌비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명품패션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트렌비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트렌비 앱에
208만6201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38.1분이었습니다. 

커머스에서 중고거래로 사업을 확장했지만,
이용 시간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

(참조 - 명품 플랫폼 대표들에게 '역성장'을 묻다)

50. 남성의류

: 하이버


(2023년 1월 ~ 12월. 앱 사용시간(막대 그래프),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꺾은선 그래프) 추이.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출처=모바일인덱스)

남성의류 분야에서 이용자들이
가장 오래 머문 앱은 하이버입니다.

1년 동안 이용자들은 하이버 앱에
134만0314시간을 머물렀습니다.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은
15분이었습니다. 

여성의류 1위인 에이블리의 1인당 월 평균
이용 시간(57분)과 비교하면 남성 쇼핑의
특성을 알 수 있습니다.

(참조 - '거래액 1200억원' 하이버는 남자의 마음을 어떻게 알아요?)



▶ <아웃스탠딩 X 원티드> 시리즈 보러 가기 


발행일 2024.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