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한 계기로 시작한
마케터로서의 커리어
Q. 공대를 졸업하고 엔지니어가 아닌 마케터로 커리어를 시작하셨어요. 완전히 다른 길을 선택하신 계기는 무엇이었나요?
A. 전자공학을 전공해서 삼성전자에 입사했는데, 신입사원 교육 기간 때 인사 담당자가 ‘마케팅을 해 보면 어떻겠냐’고 제안했어요. 사실 예전부터 광고를 좋아했는데, 마케팅이면 광고 만드는 일을 하겠구나 싶어서 받아들였죠. 광고는 짧은 시간에 사람들의 기억에 무언가를 남기는 거잖아요. 그런 걸 직접 만들 수 있다는 생각에 기대가 됐습니다.
Q.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시면서 어려움도 많으셨을 것 같아요. 마케터로 고군분투하신 우성 님의 주니어 시절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A. 많이 힘들었죠(웃음). 처음 배치받은 곳은 삼성전자 프린터 사업부의 OEM 부서였어요. 이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팀으로 옮겨 제품 POP와 브로셔를 제작하고 국내외 전시를 기획하는 일을 담당했고요. 생각했던 것과 너무 달라 출근하기 싫을 정도로 힘들 때도 있었습니다. 그렇다고 도망갈 수는 없었어요. 마케터로 일을 시작했는데, 다시 엔지니어로 돌아갈 수는 없겠더라고요. 선배들에게 많이 물어보고, 혼나기도 하면서 마케팅 일을 배워나갔죠. 어느 순간 일이 익숙해지기 시작하자 마케팅을 기본부터 탄탄히 배우고 싶더라고요. 그래서 영국으로 유학을 떠나기도 했습니다. 이런 저를 보고 주변 사람들은 경력 끊기면 어떡하냐며 걱정했지만, 저는 전혀 불안하지 않았어요. 지금 마케팅을 제대로 공부해야 후회하지 않을 것 같았거든요. 하고 싶다면 어떻게든 해내자는 마음으로 떠났어요.
Q. 마케터로 커리어를 시작하셨지만, 지금은 브랜딩 디렉터로서 여러 브랜드의 브랜딩 고민을 해결해 주시고 계시는데요. 브랜딩에 매력을 느끼게 된 이유가 궁금해집니다.
A. 네이버에서 일하며 브랜딩에 매력을 느끼게 됐습니다 당시에도 네이버는 국내 1위 포털이었지만 경쟁사도 많았어요. 저는 사람들이 네이버를 더 좋아하게 만드는 활동을 했는데 그러면서 ‘내가 브랜딩에 더 관심이 있구나’라는 걸 깨달았어요. 그때부터 팬을 만드는 ‘브랜딩’을 깊이 파기 시작했죠.
그땐 지금처럼 소셜 미디어가 발달하지도 않았어요. 그래서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공유하면서 입소문 날만한 이벤트를 기획하는 데 힘을 쏟았어요. 2008년 부산국제영화제 프로모션용으로 제작한 의자 ‘Director;s Chair’와 폰트와 서식을 무료로 배포한 ‘한글한글 아름답게’ 캠페인 3회가 그 결과예요. 특히 ‘한글한글 아름답게’ 캠페인을 통해 잉크를 절약할 수 있는 나눔글꼴 에코와 다양한 한글 문서 서식도 배포했는데요. 반응이 뜨거워서 뿌듯했던 기억이 나요. 요즘도 ‘잘 사용하고 있다’는 피드백을 종종 듣고 있습니다.
Q. 네이버 이후 브랜드 마케터로 커리어를 이어오신건,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방향이네요.
A. 맞아요. 브랜딩을 집중적으로 시도할 수 있는 회사를 찾았고, 취향 셀렉트숍 ‘29CM’에 입사했어요. 29CM에서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정립부터 앱 푸시 메시지를 재해석한 ‘루시(Lucy)’까지. 브랜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프로젝트라면 거의 다 참여하며 브랜딩을 이끌어 왔어요. 이직한 아이웨어 브랜드 ‘라운즈(ROUNZ)’에서도 브랜딩 캠페인을 진행했고요. 지금은 ‘시싸이드 시티’라는 브랜딩 전략 및 컨설팅 그룹의 대표이자 브랜딩 디렉터로 일하고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