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션 상세
K패션 체인지 메이커 딜리셔스는 패션 도소매 거래 No.1 플랫폼 신상마켓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신상마켓은 누적 상품 등록수가 7684만 건에 달하며 하루 평균 5초당 1건꼴로 거래가 일어나는 명실상부한 국내 1위의 패션 B2B 플랫폼입니다. 서비스 론칭 이래 신상마켓은 기존 패션 도소매 거래 관행이 지닌 어려움을 극복하며 한계점을 돌파하고 있습니다. 신상마켓은 경쟁력 있는 상품만 있다면 어떤 사업자라도 성공할 수 있도록 돕는 상생의 가치를 추구합니다.
활성화된 소매 매장은 12만 개이며 유저 재방문율은 도매 사업자 93%, 소매 사업자 90%를 달해 패션 사업에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유저 월 평균 체류 시간은 288분으로, 일반 B2C 패션 플랫폼에 비해 6배 이상 높습니다. 신상마켓은 상품 추천 엔진 개발, 서비스 고도화, 해외 사업 등 패션업계 도소매 사업자 분들의 연결고리 역할을 열심히 이어가는 중입니다. 덕분에 2021년 코로나의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고객 분들의 사업 성장에 기여하며 거래액 5,723억을 기록해 전년 대비 36% 성장했습니다.
2013년부터 패션 도소매 거래 서비스를 처음 시작한 딜리셔스는 누적 거래액 2조 원을 2021년 12월에 업계 최초로 달성했습니다. 딜리셔스는 2022년 1월, 시리즈C 투자 유치에 성공하여 총 투자금액 825억을 확보했습니다. 동대문 패션 시장을 온라인 중심의 생태계로 전환하고, 이를 글로벌까지 연결하여 K패션의 가치를 높이는 활동에 더 집중하려고 합니다.
"K패션 체인지 메이커, 딜리셔스"의 멋진 여정에 함께 할 많은 동료 분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주저 말고 지원해주세요!
• 해외사업 전반 및 국가별 사업 기획
- 현재 진출 국가 : 일본, 중화권
- 사업기획/제안서 및 산출물 작성
• 해외사업 KPI 관리
• 해외 영업 및 마케팅 관리
• 신규 진출 국가 확장 기회 모색
• 제휴사 관리
• 일본 또는 중화권 사업기획, 실행까지 주도적인 수행 경험
• 사업에 대한 인사이트, 산출물 등을 기반한 문서 작성 능력 (파워포인트, 엑셀 등)
신상마켓은 누적 상품 등록수가 7684만 건에 달하며 하루 평균 5초당 1건꼴로 거래가 일어나는 명실상부한 국내 1위의 패션 B2B 플랫폼입니다. 서비스 론칭 이래 신상마켓은 기존 패션 도소매 거래 관행이 지닌 어려움을 극복하며 한계점을 돌파하고 있습니다. 신상마켓은 경쟁력 있는 상품만 있다면 어떤 사업자라도 성공할 수 있도록 돕는 상생의 가치를 추구합니다.
활성화된 소매 매장은 12만 개이며 유저 재방문율은 도매 사업자 93%, 소매 사업자 90%를 달해 패션 사업에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유저 월 평균 체류 시간은 288분으로, 일반 B2C 패션 플랫폼에 비해 6배 이상 높습니다. 신상마켓은 상품 추천 엔진 개발, 서비스 고도화, 해외 사업 등 패션업계 도소매 사업자 분들의 연결고리 역할을 열심히 이어가는 중입니다. 덕분에 2021년 코로나의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고객 분들의 사업 성장에 기여하며 거래액 5,723억을 기록해 전년 대비 36% 성장했습니다.
2013년부터 패션 도소매 거래 서비스를 처음 시작한 딜리셔스는 누적 거래액 2조 원을 2021년 12월에 업계 최초로 달성했습니다. 딜리셔스는 2022년 1월, 시리즈C 투자 유치에 성공하여 총 투자금액 825억을 확보했습니다. 동대문 패션 시장을 온라인 중심의 생태계로 전환하고, 이를 글로벌까지 연결하여 K패션의 가치를 높이는 활동에 더 집중하려고 합니다.
"K패션 체인지 메이커, 딜리셔스"의 멋진 여정에 함께 할 많은 동료 분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주저 말고 지원해주세요!
주요업무
• 팀 리딩 (현재 팀원 5명)• 해외사업 전반 및 국가별 사업 기획
- 현재 진출 국가 : 일본, 중화권
- 사업기획/제안서 및 산출물 작성
• 해외사업 KPI 관리
• 해외 영업 및 마케팅 관리
• 신규 진출 국가 확장 기회 모색
• 제휴사 관리
자격요건
• 7년 이상 유관 경력 보유자 (사업기획, 제휴, 해외 사업 관리 등)• 일본 또는 중화권 사업기획, 실행까지 주도적인 수행 경험
• 사업에 대한 인사이트, 산출물 등을 기반한 문서 작성 능력 (파워포인트, 엑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