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션 상세
카카오페이증권은 어렵고 복잡한 투자의 문턱을 낮추고, 생활 속 가장 가까운 금융투자 회사를 만듭니다.
국내최초 테크핀 증권사에서 새로운 투자문화를 함께 만들어 갈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조직소개]
• 카카오페이증권의 WTS(Web Trading System)를 개발해요.
• 다양한 프론트엔드 기술로 주식 서비스의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해요.
• 구성원들이 안정감을 가지고 좋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도록 함께 일하는 방법을 스터디하고 개선하며 성장해요.
• 사용자의 피드백에 귀 기울이며 보다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꾸준히 개선해요.
• 증권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과 협업하면서 신규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해요.
• React(Next.js) + TypeScript를 기반으로 개발해요.
• 서버와의 통신은 React-query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상태관리가 필요한 경우 Zustand를 사용해서 빠르고 안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가요.
• 실시간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웹소켓(WebSocket)을 사용해요.
• TradingView 차트 솔루션을 사용해 트레이딩 차트를 제공해요.
• 이 외에도 필요한 기술 스택은 팀에서 함께 제안하고, 서비스 특성에 맞춰 유연하게 적용해요.
• React, Next.js, TypeScript, Tanstack Query, 웹소켓 등의 기술로 웹뷰 기반 프론트엔드 서비스 개발 경험이 있으신 분을 원해요.
• 프론트엔드 개발 경험이 5년 이상이고, 서비스 개발 생명 주기(SDLC) 에 맞춰 개발&운영&고도화 경험이 있으신 분을 원해요.
• SSR, CSR 등 다양한 렌더링 방식과 구조를 이해하고 대규모 트래픽을 기술적인 관점에서 대응하고 개선해 본 경험을 가지신 분을 원해요.
• 관측성 도구(OpenTelemetry, Grafana, OpenSearch, Sentry 등)를 통해 서비스의 다양한 지표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서비스를 개선한 경험이 있으신 분을 원해요.
• 단위 테스트, e2e 테스트 등 서비스의 안정성과 무결성을 위한 테스트 코드 작성에 게으르지 않으신 분을 원해요.
• Cursor, Claude 등 LLM 기반 AI 도구를 실무에 적용해 본 경험이 있거나 팀 차원에서 도입하고 결과를 만들어 본 분을 원해요.
• Slack, Figma, Jira, Confluence Wiki 등 협업 도구 사용에 능숙하고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분을 원해요.
국내최초 테크핀 증권사에서 새로운 투자문화를 함께 만들어 갈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조직소개]
• 카카오페이증권의 WTS(Web Trading System)를 개발해요.
• 다양한 프론트엔드 기술로 주식 서비스의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해요.
• 구성원들이 안정감을 가지고 좋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도록 함께 일하는 방법을 스터디하고 개선하며 성장해요.
• 사용자의 피드백에 귀 기울이며 보다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꾸준히 개선해요.
• 증권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들과 협업하면서 신규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해요.
주요업무
• WTS 전반의 프론트엔드를 설계하고 구현해요.• React(Next.js) + TypeScript를 기반으로 개발해요.
• 서버와의 통신은 React-query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상태관리가 필요한 경우 Zustand를 사용해서 빠르고 안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가요.
• 실시간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웹소켓(WebSocket)을 사용해요.
• TradingView 차트 솔루션을 사용해 트레이딩 차트를 제공해요.
• 이 외에도 필요한 기술 스택은 팀에서 함께 제안하고, 서비스 특성에 맞춰 유연하게 적용해요.
자격요건
• 컴퓨터공학 전공 또는 이에 준하는 전공 지식을 보유한 분을 원해요.• React, Next.js, TypeScript, Tanstack Query, 웹소켓 등의 기술로 웹뷰 기반 프론트엔드 서비스 개발 경험이 있으신 분을 원해요.
• 프론트엔드 개발 경험이 5년 이상이고, 서비스 개발 생명 주기(SDLC) 에 맞춰 개발&운영&고도화 경험이 있으신 분을 원해요.
• SSR, CSR 등 다양한 렌더링 방식과 구조를 이해하고 대규모 트래픽을 기술적인 관점에서 대응하고 개선해 본 경험을 가지신 분을 원해요.
• 관측성 도구(OpenTelemetry, Grafana, OpenSearch, Sentry 등)를 통해 서비스의 다양한 지표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서비스를 개선한 경험이 있으신 분을 원해요.
• 단위 테스트, e2e 테스트 등 서비스의 안정성과 무결성을 위한 테스트 코드 작성에 게으르지 않으신 분을 원해요.
• Cursor, Claude 등 LLM 기반 AI 도구를 실무에 적용해 본 경험이 있거나 팀 차원에서 도입하고 결과를 만들어 본 분을 원해요.
• Slack, Figma, Jira, Confluence Wiki 등 협업 도구 사용에 능숙하고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분을 원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