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션 상세
[압도적인 속도]
• 2023년 11월 - 창업 (원지현 대표 - 왓챠 공동창업 前 COO, 김유준 CTO - 에이블리 前 CTO/CPO)
• 2023년 12월 - Seed 투자 유치 (베이스인베스트먼트, 패스트벤처스 등)
• 2024년 3월 - 브랜드 고객사 20여 곳 계약, 제품 개발 완료
• 2024년 4월 - 서비스 런칭
• 2024년 5월 - 수천만 원 매출 달성하는 복수의 크리에이터 발생시키며 PMF 확인, Pre-A 투자 유치 (한국투자파트너스, 베이스인베스트먼트 등)
• 2024년 6월 - MAU 21만 명, 브랜드 고객사 60여 곳 계약
• 2024년 9월 - MAU 30만명, 브랜드 고객사 100여곳 계약, 일일 1억 매출 브랜드 발생
• 2024년 12월 - MAU 70만명, 일일 2억 매출 브랜드 발생
• 2025년 2월 - Series A 100억 투자 유치 (기존 기관 VC 3곳 베이스벤처스, 한국투자파트너스, 패스트벤처스 모두 후속투자, 뮤렉스파트너스, IMM인베스트먼트 신규 투자)
[ZVZO가 뭐길래]
• 정보좀요(ㅈㅂㅈㅇ)에서 따온 이름으로 ‘지비지오’라고 읽습니다. ‘제트브이제트오’ 아닙니다.
• 지비지오는 브랜드사나 유통사가 직접 크리에이터 또는 인플루언서 담당 매니저와 소통하며 어필리에이트 마케팅을 진행해 매출로 연결되도록 하는 마케팅 플랫폼이에요.
• 크리에이터는 인스타그램, 유튜브, 네이버, 틱톡, X(트위터), 스레드 등 본인의 SNS 채널에서 자신이 추천하는 제품을 팔로워(구독자)에게 소개하고 판매가 되면 일정 수수료를 지급 받아요.
• 지비지오를 통해 매월 수천개의 콘텐츠가 발생 중인데 상위 크리에이터는 매월 포스팅 하나로 수천만원대의 수익을 올리고 있고, 10억 이상의 매출을 발생한 크리에이터 사례도 늘어나고 있어요.
• 크리에이터의 채널이 곧 플랫폼이고 고객 접점이기 때문에, 지비지오에게는 크리에이터를 늘리는 것이 곧 고객 확보예요. 그래서 해외 확장도 용이해요. 일부 브랜드 고객사들은 ZVZO 측에 먼저 북미, 일본, 대만, 중국 등 시장에 현지 크리에이터와 함께 해외 확장을 요청하고 있어요.
• 국가 뿐 아니라 카테고리도 마찬가지예요. 패션으로 시작했지만 뷰티, 식품, 라이프 스타일, 리빙, 키즈, 펫, 인테리어, 가전 등으로 확대하고 있어요.
[두어스 특: 순진하지 않음]
• 순진하게 사업하지 않음: 1) 타오르는 욕망 위에서, 2) 돈이 흐르는 시장 안에서, 3) 거대한 확장성이 있는 사업으로 창업했고, 셋 중 어떤 하나라도 충족하지 않았다면 시작하지 않았을 거예요.
• 성장이 무엇보다 중요함: 임팩트를 만들지 못하면 좋은 문화, 좋은 인재상, 아무것도 소용 없어요. 적당히 빠른 속도로 꽤 괜찮은 성과 내며 나쁘지 않은 커리어 만들 정도 생각이라면 우리가 좋은 타겟이 아니에요.
• 지속 가능한 선에서 높은 인풋 추구: 같은 조건이면 당연히 인풋을 많이 하는 팀이 승리해요. 12시간 이상 근무하는 날이 과반인 회사에 함께 몰입할 수 있어야 해요.
[두어스에서 함께 일한다는 것]
• 모든 구성원과 지원자는 [두어스가 일하는 방식]에 진심으로 동의하고 완전하게 동화될 수 있어야 해요.
• 같은 조건이면 당연히 인풋을 많이 하는 팀이 승리한다고 믿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선에서 높은 인풋을 추구해요.
• 주 5일 동안 대부분의 날을 중/석식, 휴게시간 등 제외하고 2시간 이상 더 일해요.
• 주 기준으로 실제 업무일의 ‘일평균 초과근무시간’이 기준이에요. 그래서 구성원 마다 늦은 퇴근 대신 이른 출근을 하기도 하고, 요일마다 편차를 두며 개인의 생활패턴에 따라 유연하게 몰입해요.
• 쉽지 않은 여정 동안 모두 같은 방향 바라볼 수 있도록 모든 정규직 분들에게 스톡옵션의 기회를 드리고 명확한 보상을 제시해요
• 목표 지표의 성장을 위한 임팩트 있는 가설 설정,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설계, 결과 분석
• ZVZO 서비스의 UX 플로우 및 Funnel을 분석하여 개선점 도출
• 비즈니스적인 관점에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업팀 Action Item 도출
• 팀에 인사이트를 줄 수 있는 대시보드를 만들고 관리
[업무 환경]
• AWS S3와 Glue로 구축한 Data Lake를 활용
• 데이터 조회 및 가공은 Amazon Athena를 사용
• Amazon Quicksight와 Amplitude, mixpanel를 사용하여 서비스 주요 지표 및 성과를 공유
•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시각화하는데 필요한 SQL 역량
• 주도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설을 도출하고 논리적으로 액션까지 끌고 가실 수 있는 분
• 분석 방법론(코호트 분석, A/B 테스트, Funnel 분석…)에 대한 이해 & 실무 적용 경험이 있는 분
• BI 툴에 대한 풍부한 경험이 있는 분 (Redash, QuickSight, Tableau...)
• 로그 분석 툴을 활용한 업무 경험이 있는 분 (Amplitude, Mixpanel, GA4)
• 2023년 11월 - 창업 (원지현 대표 - 왓챠 공동창업 前 COO, 김유준 CTO - 에이블리 前 CTO/CPO)
• 2023년 12월 - Seed 투자 유치 (베이스인베스트먼트, 패스트벤처스 등)
• 2024년 3월 - 브랜드 고객사 20여 곳 계약, 제품 개발 완료
• 2024년 4월 - 서비스 런칭
• 2024년 5월 - 수천만 원 매출 달성하는 복수의 크리에이터 발생시키며 PMF 확인, Pre-A 투자 유치 (한국투자파트너스, 베이스인베스트먼트 등)
• 2024년 6월 - MAU 21만 명, 브랜드 고객사 60여 곳 계약
• 2024년 9월 - MAU 30만명, 브랜드 고객사 100여곳 계약, 일일 1억 매출 브랜드 발생
• 2024년 12월 - MAU 70만명, 일일 2억 매출 브랜드 발생
• 2025년 2월 - Series A 100억 투자 유치 (기존 기관 VC 3곳 베이스벤처스, 한국투자파트너스, 패스트벤처스 모두 후속투자, 뮤렉스파트너스, IMM인베스트먼트 신규 투자)
[ZVZO가 뭐길래]
• 정보좀요(ㅈㅂㅈㅇ)에서 따온 이름으로 ‘지비지오’라고 읽습니다. ‘제트브이제트오’ 아닙니다.
• 지비지오는 브랜드사나 유통사가 직접 크리에이터 또는 인플루언서 담당 매니저와 소통하며 어필리에이트 마케팅을 진행해 매출로 연결되도록 하는 마케팅 플랫폼이에요.
• 크리에이터는 인스타그램, 유튜브, 네이버, 틱톡, X(트위터), 스레드 등 본인의 SNS 채널에서 자신이 추천하는 제품을 팔로워(구독자)에게 소개하고 판매가 되면 일정 수수료를 지급 받아요.
• 지비지오를 통해 매월 수천개의 콘텐츠가 발생 중인데 상위 크리에이터는 매월 포스팅 하나로 수천만원대의 수익을 올리고 있고, 10억 이상의 매출을 발생한 크리에이터 사례도 늘어나고 있어요.
• 크리에이터의 채널이 곧 플랫폼이고 고객 접점이기 때문에, 지비지오에게는 크리에이터를 늘리는 것이 곧 고객 확보예요. 그래서 해외 확장도 용이해요. 일부 브랜드 고객사들은 ZVZO 측에 먼저 북미, 일본, 대만, 중국 등 시장에 현지 크리에이터와 함께 해외 확장을 요청하고 있어요.
• 국가 뿐 아니라 카테고리도 마찬가지예요. 패션으로 시작했지만 뷰티, 식품, 라이프 스타일, 리빙, 키즈, 펫, 인테리어, 가전 등으로 확대하고 있어요.
[두어스 특: 순진하지 않음]
• 순진하게 사업하지 않음: 1) 타오르는 욕망 위에서, 2) 돈이 흐르는 시장 안에서, 3) 거대한 확장성이 있는 사업으로 창업했고, 셋 중 어떤 하나라도 충족하지 않았다면 시작하지 않았을 거예요.
• 성장이 무엇보다 중요함: 임팩트를 만들지 못하면 좋은 문화, 좋은 인재상, 아무것도 소용 없어요. 적당히 빠른 속도로 꽤 괜찮은 성과 내며 나쁘지 않은 커리어 만들 정도 생각이라면 우리가 좋은 타겟이 아니에요.
• 지속 가능한 선에서 높은 인풋 추구: 같은 조건이면 당연히 인풋을 많이 하는 팀이 승리해요. 12시간 이상 근무하는 날이 과반인 회사에 함께 몰입할 수 있어야 해요.
[두어스에서 함께 일한다는 것]
• 모든 구성원과 지원자는 [두어스가 일하는 방식]에 진심으로 동의하고 완전하게 동화될 수 있어야 해요.
• 같은 조건이면 당연히 인풋을 많이 하는 팀이 승리한다고 믿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선에서 높은 인풋을 추구해요.
• 주 5일 동안 대부분의 날을 중/석식, 휴게시간 등 제외하고 2시간 이상 더 일해요.
• 주 기준으로 실제 업무일의 ‘일평균 초과근무시간’이 기준이에요. 그래서 구성원 마다 늦은 퇴근 대신 이른 출근을 하기도 하고, 요일마다 편차를 두며 개인의 생활패턴에 따라 유연하게 몰입해요.
• 쉽지 않은 여정 동안 모두 같은 방향 바라볼 수 있도록 모든 정규직 분들에게 스톡옵션의 기회를 드리고 명확한 보상을 제시해요
주요업무
• OMTM을 기반으로 팀 전체의 목표 지표와 가설 도출• 목표 지표의 성장을 위한 임팩트 있는 가설 설정, 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설계, 결과 분석
• ZVZO 서비스의 UX 플로우 및 Funnel을 분석하여 개선점 도출
• 비즈니스적인 관점에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업팀 Action Item 도출
• 팀에 인사이트를 줄 수 있는 대시보드를 만들고 관리
[업무 환경]
• AWS S3와 Glue로 구축한 Data Lake를 활용
• 데이터 조회 및 가공은 Amazon Athena를 사용
• Amazon Quicksight와 Amplitude, mixpanel를 사용하여 서비스 주요 지표 및 성과를 공유
자격요건
• 5년 이상의 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업무 경험•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시각화하는데 필요한 SQL 역량
• 주도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설을 도출하고 논리적으로 액션까지 끌고 가실 수 있는 분
• 분석 방법론(코호트 분석, A/B 테스트, Funnel 분석…)에 대한 이해 & 실무 적용 경험이 있는 분
• BI 툴에 대한 풍부한 경험이 있는 분 (Redash, QuickSight, Tableau...)
• 로그 분석 툴을 활용한 업무 경험이 있는 분 (Amplitude, Mixpanel, GA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