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션 상세
[Simply better recycling, Truly circular future]
안녕하세요.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자원순환의 문제를 해결하는 Team uglee 입니다.
우리는 한정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해 묵묵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
우리는 인생 내내 폐기물을 배출하며 살아갑니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우리의 삶에는 더욱 더 다양한 폐기물이 만들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재활용 분리배출을 강력하게 규제하고 있습니다. 태어날 때부터 분리배출이 익숙했던 우리 역시 나름대로 품목별로 배출을 잘 해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소각장 문제, 매립지 문제, 낮은 재활용율 같은 뉴스 역시 심심찮게 흘러나오는 시대입니다.
분리배출하는 개인, 그러나 즐비한 쓰레기 문제. 두 문구 사이에 간극이 큰 만큼 우리는 폐기물 시장을 잘 알지 못합니다. 우리가 배출한 폐기물이 어떻게 재활용되는지도 잘 모릅니다.
대한민국의 폐기물 시장은 오랫동안 불투명하고 폐쇄적으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높은 진입장벽, 지자체 보조금과 입찰에 의존하는 현실, 비용의 제약에 따른 산업의 정체. 폐기물을 배출하는 사람에게도, 배출한 폐기물을 처리하는 사람에게도 불편이 큰 시장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폐기물 시장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더 나은 가치를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이루어내고자 합니다.
=====================
"분리배출 없는 일상의 시작, 오늘수거"
오늘수거는 바쁜 현대인의 쓰레기 배출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생활에 여유를 선물합니다.
씻거나 분리할 필요 없이, 봉투에 한 번에 담아 배출하면 고객들의 집 앞에서 당일 수거하는 서비스입니다.
가정, 사무실, 건물 등 다양한 폐기물 배출자의 문제를 해결하고 편안한 일상을 제공하기 위해 달려나가고 있습니다.
"폐자원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내일순환"
내일순환은 오늘수거의 직영 선별장입니다.
오늘수거에서 수거한 폐기물을 직접 선별, 세척하여 재활용율을 높이고, 이렇게 분류한 폐기물을 고품질의 재생원료로 재탄생시키는 일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어글리랩의 본질은 오늘수거 + 내일순환에 있습니다.
폐기물을 모으는 오늘수거와 모은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내일순환이 힘을 합쳐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한겨레 영상신문 - "집 앞에 쓰레기 내놓으면 버려준다...'분리배출 대행' 인기"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25075.html
KBS 9시뉴스 - "'공간'에 '쓰레기 수거'까지 구독?...몸집 키우는 구독경제"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54422
오늘수거 서비스의 운영자를 위한 핵심 어드민 플랫폼을 구축하고 고도화합니다.
운영자가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운영 친화적인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합니다.
제로 베이스에서 어드민 시스템을 구축하고 복잡한 데이터 테이블, 폼, 상태 관리 UI를 설계, 개발합니다.
• 주문/배차/수거/배송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이슈를 관리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개발합니다.
• 대용량 테이블, 복잡한 폼, 필터링 시스템 등 데이터 중심 UI를 개발하고 관리합니다. (성능 최적화, CSV Export 기능 포함)
• 오늘수거의 상태 기반 워크플로우 화면을 설계합니다.
• REST API를 연동하고 에러 핸들링, 로딩 상태 관리 전략을 설계, 최적화합니다.
• 배포 파이프라인에 참여하여 코드 품질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3년 이상의 React + Typescript 실무 경험이 있거나 그에 준하는 역량을 갖춘 분
• Next.js 프레임워크 실무 경험이 있는 분
• React Query, Zustand, Redux 등의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분
• 대용량 데이터 테이블 또는 폼 UI를 개발하고 최적화한 경험이 있는 분
• 코드 품질 관리 경험이 있는 분 (테스트 작성, 코드 리뷰 문화 등)
• REST API 연동 및 비동기 데이터 처리 경험이 있는 분
안녕하세요.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자원순환의 문제를 해결하는 Team uglee 입니다.
우리는 한정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해 묵묵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
우리는 인생 내내 폐기물을 배출하며 살아갑니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우리의 삶에는 더욱 더 다양한 폐기물이 만들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재활용 분리배출을 강력하게 규제하고 있습니다. 태어날 때부터 분리배출이 익숙했던 우리 역시 나름대로 품목별로 배출을 잘 해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소각장 문제, 매립지 문제, 낮은 재활용율 같은 뉴스 역시 심심찮게 흘러나오는 시대입니다.
분리배출하는 개인, 그러나 즐비한 쓰레기 문제. 두 문구 사이에 간극이 큰 만큼 우리는 폐기물 시장을 잘 알지 못합니다. 우리가 배출한 폐기물이 어떻게 재활용되는지도 잘 모릅니다.
대한민국의 폐기물 시장은 오랫동안 불투명하고 폐쇄적으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높은 진입장벽, 지자체 보조금과 입찰에 의존하는 현실, 비용의 제약에 따른 산업의 정체. 폐기물을 배출하는 사람에게도, 배출한 폐기물을 처리하는 사람에게도 불편이 큰 시장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폐기물 시장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더 나은 가치를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이루어내고자 합니다.
=====================
"분리배출 없는 일상의 시작, 오늘수거"
오늘수거는 바쁜 현대인의 쓰레기 배출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생활에 여유를 선물합니다.
씻거나 분리할 필요 없이, 봉투에 한 번에 담아 배출하면 고객들의 집 앞에서 당일 수거하는 서비스입니다.
가정, 사무실, 건물 등 다양한 폐기물 배출자의 문제를 해결하고 편안한 일상을 제공하기 위해 달려나가고 있습니다.
"폐자원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내일순환"
내일순환은 오늘수거의 직영 선별장입니다.
오늘수거에서 수거한 폐기물을 직접 선별, 세척하여 재활용율을 높이고, 이렇게 분류한 폐기물을 고품질의 재생원료로 재탄생시키는 일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어글리랩의 본질은 오늘수거 + 내일순환에 있습니다.
폐기물을 모으는 오늘수거와 모은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내일순환이 힘을 합쳐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한겨레 영상신문 - "집 앞에 쓰레기 내놓으면 버려준다...'분리배출 대행' 인기"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25075.html
KBS 9시뉴스 - "'공간'에 '쓰레기 수거'까지 구독?...몸집 키우는 구독경제"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54422
주요업무
[이런 업무를 하시게 됩니다]오늘수거 서비스의 운영자를 위한 핵심 어드민 플랫폼을 구축하고 고도화합니다.
운영자가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운영 친화적인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합니다.
제로 베이스에서 어드민 시스템을 구축하고 복잡한 데이터 테이블, 폼, 상태 관리 UI를 설계, 개발합니다.
• 주문/배차/수거/배송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이슈를 관리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개발합니다.
• 대용량 테이블, 복잡한 폼, 필터링 시스템 등 데이터 중심 UI를 개발하고 관리합니다. (성능 최적화, CSV Export 기능 포함)
• 오늘수거의 상태 기반 워크플로우 화면을 설계합니다.
• REST API를 연동하고 에러 핸들링, 로딩 상태 관리 전략을 설계, 최적화합니다.
• 배포 파이프라인에 참여하여 코드 품질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자격요건
[어디 이런 분 없나요?]• 3년 이상의 React + Typescript 실무 경험이 있거나 그에 준하는 역량을 갖춘 분
• Next.js 프레임워크 실무 경험이 있는 분
• React Query, Zustand, Redux 등의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분
• 대용량 데이터 테이블 또는 폼 UI를 개발하고 최적화한 경험이 있는 분
• 코드 품질 관리 경험이 있는 분 (테스트 작성, 코드 리뷰 문화 등)
• REST API 연동 및 비동기 데이터 처리 경험이 있는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