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션 상세
채널팀은 2018년 5배, 2019년 3배, 2020년 3배, 2021년 2배 매출 성장을 이뤘습니다. '예비유니콘 특별보증' 기업에도 최종 선정되었어요. 2022년에도 놀라운 성장을 함께 만들어갈 동료를 찾기 위해 개발자 초봉을 업계 최고 수준인 6,500만 원으로 인상했습니다!
https://mirakle.mk.co.kr/view.php?sc=&year=2021&no=1140330
채널톡 개발팀은 특별해요. 좋은 제품이 최고의 세일즈, 마케팅이라고 믿는 팀이거든요. 채널톡 개발자는 고객과 직접 대화하는데요, 고객의 피드백에서 새로운 기획의 영감을 얻어요. 스스로 기획한 기능은 직접 코드로 설계해 제품으로 구현합니다. 개발자들의 손으로 업데이트한 제품은 자는 동안에도 채널팀의 매출을 만들고 있습니다.
일본 담당 개발팀은 엄청 고속 성장하는 일본 시장에 집중해서 다양한 연동이나 로칼라이즈를 지원하는 팀이에요. 서버에서 부터 웹 모바일 까지 다양한 기술 문제를 풀어볼 수 있어요. 라인(LINE)의 성공적인 역사를 B2B에서 새로 써보고 싶다면 지원해주세요!
채널톡 그리고 줌, 슬랙 같은 B2B SaaS(Software as a Service - 기업을 위한 구독형 클라우드 서비스) 제품은 앞으로 더 빠르게 성장할 거예요. B2B SaaS는 모든 비즈니스가 본질에 집중하게 돕는 팀이거든요. 예를 들어 게임 만드는 회사는 팀메신저나 마케팅 솔루션을 만드는 대신 게임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거죠.
채널팀의 제품 로드맵과 기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뛰어난 개발자들과 함께 하고 싶습니다. 천천히 읽어보시고 빠르게 지원해주세요!
[참고] 산업기능요원 병특의 경우 병역법에 의거한 사항을 제외하고 급여 등 채용 요건은 일반 직원과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병무청의 방침으로, 현역은 2022년부터 재배정 TO의 확률이 매우 희박하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보충역은 상시 편입 가능합니다.
--
최근에 채널톡은 일본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일본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아직 시작 단계이고, 시장이나 경제 규모가 한국 보다 크기 때문에 큰 기회가 있는 국가 입니다. 일본 특유의 신중함 때문에 1~2년 사이의 급격한 변화는 없지만, 이미 수 년 전 부터 고객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노력들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습니다. 특히, 일본에서도 빠르게 움직이는 스타트업들 사이에서는 '커스터머 석세스'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습니다. 채널톡 또한 이러한 흐름속에서 "고객과 커뮤니케이션 하기 가장 좋은 툴", "고객의 목소리를 사내에 전달하는 툴"로 좋은 평가를 받으며, 올해 유료 어카운트 수 3배 성장, 매출 5배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접객 문화를 매우 중요시 여기는 일본에서, 채널톡의 성장의 가장 큰 허들은, IT 인력의 부족입니다. 채널톡과 같은 접객 서비스를 도입하고 싶어도 자사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지 못하거나 HTML을 수정할 줄 모르는 회사들이 산재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채널톡의 스케일 한 성장은 얼마나 도입 허들을 낮게 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로컬 IT서비스들과 채널톡을 연동하여, 고객들의 신뢰를 확보하고 쉽게 도입할 수 있게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는 것이 이번 채용의 목적입니다.
• 일본 고객들의 피드백을 개발팀에 공유하고, 개선하여 사용성을 높이는 업무
• 다양한 최신 개발 내용을 일본 팀에 전달
• Nodejs, Java, Python 중 1년 이상의 개발 경험 우대
• 팀 워크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 여러가지 아키텍쳐에 관한 이해 및 사용 경험
https://mirakle.mk.co.kr/view.php?sc=&year=2021&no=1140330
채널톡 개발팀은 특별해요. 좋은 제품이 최고의 세일즈, 마케팅이라고 믿는 팀이거든요. 채널톡 개발자는 고객과 직접 대화하는데요, 고객의 피드백에서 새로운 기획의 영감을 얻어요. 스스로 기획한 기능은 직접 코드로 설계해 제품으로 구현합니다. 개발자들의 손으로 업데이트한 제품은 자는 동안에도 채널팀의 매출을 만들고 있습니다.
일본 담당 개발팀은 엄청 고속 성장하는 일본 시장에 집중해서 다양한 연동이나 로칼라이즈를 지원하는 팀이에요. 서버에서 부터 웹 모바일 까지 다양한 기술 문제를 풀어볼 수 있어요. 라인(LINE)의 성공적인 역사를 B2B에서 새로 써보고 싶다면 지원해주세요!
채널톡 그리고 줌, 슬랙 같은 B2B SaaS(Software as a Service - 기업을 위한 구독형 클라우드 서비스) 제품은 앞으로 더 빠르게 성장할 거예요. B2B SaaS는 모든 비즈니스가 본질에 집중하게 돕는 팀이거든요. 예를 들어 게임 만드는 회사는 팀메신저나 마케팅 솔루션을 만드는 대신 게임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거죠.
채널팀의 제품 로드맵과 기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뛰어난 개발자들과 함께 하고 싶습니다. 천천히 읽어보시고 빠르게 지원해주세요!
[참고] 산업기능요원 병특의 경우 병역법에 의거한 사항을 제외하고 급여 등 채용 요건은 일반 직원과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병무청의 방침으로, 현역은 2022년부터 재배정 TO의 확률이 매우 희박하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보충역은 상시 편입 가능합니다.
--
최근에 채널톡은 일본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일본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아직 시작 단계이고, 시장이나 경제 규모가 한국 보다 크기 때문에 큰 기회가 있는 국가 입니다. 일본 특유의 신중함 때문에 1~2년 사이의 급격한 변화는 없지만, 이미 수 년 전 부터 고객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노력들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습니다. 특히, 일본에서도 빠르게 움직이는 스타트업들 사이에서는 '커스터머 석세스'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습니다. 채널톡 또한 이러한 흐름속에서 "고객과 커뮤니케이션 하기 가장 좋은 툴", "고객의 목소리를 사내에 전달하는 툴"로 좋은 평가를 받으며, 올해 유료 어카운트 수 3배 성장, 매출 5배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접객 문화를 매우 중요시 여기는 일본에서, 채널톡의 성장의 가장 큰 허들은, IT 인력의 부족입니다. 채널톡과 같은 접객 서비스를 도입하고 싶어도 자사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지 못하거나 HTML을 수정할 줄 모르는 회사들이 산재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채널톡의 스케일 한 성장은 얼마나 도입 허들을 낮게 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로컬 IT서비스들과 채널톡을 연동하여, 고객들의 신뢰를 확보하고 쉽게 도입할 수 있게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는 것이 이번 채용의 목적입니다.
주요업무
• 일본의 웹빌더 서비스, CRM 서비스, 메일 오토메이션 서비스 등, 채널톡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여러 서비스와 연동 파트의 백엔드 개발• 일본 고객들의 피드백을 개발팀에 공유하고, 개선하여 사용성을 높이는 업무
• 다양한 최신 개발 내용을 일본 팀에 전달
자격요건
• 일본어로 작성된 개발 문서를 이해할 수 있을 수준의 일본어 독해 실력• Nodejs, Java, Python 중 1년 이상의 개발 경험 우대
• 팀 워크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 여러가지 아키텍쳐에 관한 이해 및 사용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