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협상을 잘하는 사람들은 어떤 공통점을 가지고 있나요?먼저 상대방에 대해 잘 알려고 합니다. 나의 목표와 상대방의 목표를 정확히 알고, 현재 상황 그리고 우선순위와 한계가 무엇인지 알려고 하면 Joint Gain의 옵션이 늘어날 수 있어요.
또 한 가지는 본인의 감정 조절에 능숙하다는 것입니다. 감정 컨트롤이 잘 안되면 주도권을 빼앗기거나 논쟁에서만 이기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정 관리를 위한 숙련이 필요합니다.
Q. 협상력은 교육을 통해 향상되기보다는 다양한 경험, 오랜 경력 그리고 기본적인 기질이 더욱 중요할 것 같은데요?물론 경험이 많을수록 협상에서 유리하긴 합니다. 10여 년 이상 협상을 해온 사람과 협상 경험이 적으면서 이론 공부를 많이 한 사람이 협상한다면 누가 이길까요. 실제로 협상을 많이 해본 사람이 이길 것입니다. 협상은 몸으로 체득되어야 하는 지식이니까요. 다만, 실수와 성공이 반복되면서 익히는 협상에 구조와 기술과 같은 형식지가 합쳐져서 내재화된다면 더욱 훌륭한 협상가가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Q. 이번 연재에서 나누고 싶은 주요 내용은 무엇이며, 어떤 사람이 주로 읽으면 좋을까요?협상의 기조가 많이 바꾸고 있습니다. 제로섬을 기반으로 했던 방식에서 이제는 Joint Gain, 즉, 상대방과 내가 동시에 원하는 바를 얻을 수 있다는 기조로 말이죠. 스캇워크는 1975년부터 이미 이 기조를 바탕으로 한 콘텐츠를 제공해 왔습니다. 갑을 관계의 폐해가 화두가 되는 한국 사회에서는 상생을 위한 협상 원칙이 더욱 주목 받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협상과 설득의 차이점, 까다로운 상대와 협상, 연봉협상, 이직 인터뷰에 필요한 협상법 등 읽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만한 내용으로 연재할 계획입니다. 협상을 통해 지금보다 더 나은 업무 결과를 원하는 이들이 주로 읽었으면 합니다.
<일의 결과를 바꾸는 협상법> 시리즈
1화.
설득할 것인가, 협상할 것인가2화. 까다로운 상대와의 협상에서 승리하는 방법3화. 이직 인터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협상법 4가지4화. 협상에서 조삼모사가 중요한 이유기획 | 정은혜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