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티클은 <아는 만큼 보이는 노동법_채용편> 시리즈의 3화입니다. 대졸자가 고졸로 최종학력을 은폐하는 경우
취업 경쟁이 심해지면서 스펙과 이력에 더욱 집착하게 된다. 그래서 더 좋은 학교, 더 높은 학력으로 속여서 취업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많은 이들이 학교나 학력을 거짓으로 표기하는 것이 합격 취소 사유가 된다는 것은 알고 있다. 하지만 조심해야 할 것은 학력을 높이는 것뿐 아니라 낮추어 써도 문제가 된다.
입사시 이력서에 대학교 졸업 또는 대학교 중퇴 사실을 기재하지 않고 졸업한 고등학교까지만 기재해 최종학력을 은폐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모 대학 사범대를 졸업한 K씨가 고졸이라고 속여 한 중소 자동차부품업체에 입사했으나 학력 허위기재 사실이 드러나 해고된 사건도 있다.
더 높은 학력을 지녔는데 왜 문제가 되는지 의문을 품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법원은 취업규칙상 징계해고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
회사가 직원을 채용하면서 학력 또는 경력을 기재한 이력서나 증명서를 요구하는 이유는 회사와 직원 간의 신뢰 형성과 기업 질서 유지를 위해 직원의 지능과 경험, 교육 정도, 정직성, 직장에 대한 정착성과 적응성 등 전인격적 판단을 거쳐 고용 여부를 결정할 자료로 삼기 위한 것이다. 단순히 직원의 근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함이 아니라는 말이다.
이력서에 경력이나 학력을 허위로 기재한다는 것은 그 자체가 직원의 정직성을 판단하는데 매우 부정적인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입사 시 이력서에는 자신에 대한 내용을 정확하게 적어야 마음 편히 직장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