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째, 직무 중심 임금체계(직무급)로의 전환이다직무급 도입에 대한 논의는 노동시장 구조 변화에 따라 연공주의 임금체계의 부작용과 성과주의 임금체계의 한계가 대두되면서, 이를 타개할 대안으로써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그러나 개별 직무 단위에서 외부 노동시장과의 임금 비교 불가, 직무 가치 평가에 대한 내부 이해 충돌, 임금구조 상 연공성 유지와 연관된 노조 반대 등은 직무급 도입을 저해하는 원인으로 지적되어왔다. 그러나 MZ세대 사무직 노조의 ‘공정’ 가치가 HR 영역으로 들어온 지금, 그 어느 때보다 직무 중심 임금체계로의 전환은 중요한 과제로 드러났다고 볼 수 있다. ‘비례의 원칙’ 하에서 본다면, 연공성이 강한 임금구조는 ‘불공정’과 가까워진다. 이는 연공주의 임금체계가 개별 구성원이 수행하는 직무의 가치, 직무수행에서 발휘되는 역량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연계성을 갖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생산직 노조보다 MZ세대 사무직 노조가 소외되었다고 인식하는 지점 또한 이러한 연공주의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직무의 가치에 따라 임금의 범위(Range)를 분리하는 것, 분리된 임금의 범위 내에서 역량과 성과에 따른 임금의 차등이 이루어지는 것이 직무급의 원칙이라고 한다면, MZ세대 사무직 노조의 ‘공정’ 가치에 더 가까운 것은 직무 중심 임금체계로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숙련도가 여전히 중요한 생산직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일률적인 직무급 도입은 조직 내 갈등과 반목을 유발할 수 있지만, MZ세대 사무직 노조의 설립을 촉발하였던 ‘공정’의 가치를 되짚어 본다면 그 무엇보다 일의 가치가 우선시 될 수 있는 직무급에 대한 논의가 HR 영역에서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MZ세대의 성과급 반란으로 촉발된 사무직 노조의 설립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물론 일각에서는 과거 생산직 노조와 같이 이념적 토대가 견고하지 못한 사무직 노조의 기반을 고려한다면, 향후 지속성이나 확장성을 유지해 나아갈 수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하지만 그 원인을 MZ세대의 단순한 불만이 아닌 기업의 급속한 가치 창출 방식의 전환을 HR 영역이 제도적으로 뒷받침하지 못한다는데 둔다면, MZ세대의 반란은 이제 변혁으로 확장될 수 있다. 그 변혁의 과정에서 기업의 미래를 이끌어 갈 주력 세대의 요구와 흐름을 제도적 틀로 구조화하고, 다시 이를 안정적으로 내재화 하는 HR 영역의 고민이 필요한 때이다.
▶ <MZ세대가 원하는 성과평가란?> 시리즈 보러 가기글ㅣ김상훈 KMAC 컨설팅4본부장이 글을 쓴 김상훈 님은 15년 간 기업 혁신과 성장을 고민해온 경영컨설턴트. 사업, 조직, 인력, 평가, 보상 등 전략/HR 분야의 솔루션 전문가로, 현재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본부장으로 재직중이며, SOC 분야 컨설팅 비즈니스를 총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