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e up
HR 리더와 모더레이터를 소개할게요.
제도 설계, 채용, 평가, 보상 그리고 커리어 고민까지
최고의 전문가인 HR 리더분들의 인사이트를
영상으로 준비했습니다.
이 영상을 통해 HR 업무뿐만 아니라
HRer로서의 커리어 고민까지 해결하세요.
1회차. 오프닝 세션 / HR구조&설계 세션
2회차. 인재확보 세션 / 평가&보상 세션
3회차. 스타트업 HR 세션 / HR 고민 세션 / 랩업 세션
Step 1. [무료 시청하기] 버튼을 통해 신청 완료
Step 2. 신청 완료 후 페이지 상단의 [영상 바로보기]에서 영상 시청
HR 리더와 모더레이터를 소개할게요.
이수연
VTPL Chief Operating Officer
HR LEADERS 1기
박형민
카카오인베스트먼트 경영지원실장
HR LEADERS 3기
최정호
더핑크퐁컴퍼니 CLO
HR LEADERS 1기
허상범
TDCX 인사총괄
HR LEADERS 2기
고대경
브랜디 피플실장
HR LEADERS 2기
김선영
지란지교소프트 피플팀장
HR LEADERS 2기
임상은
D&O 인사팀장
HR LEADERS 2기
안형준
CJ올리브네트웍스 인사혁신팀장
HR LEAEDERS 1기
이현준
알티모빌리티 HR팀장
HR LEADERS 3기
방성환
휴레이포지티브 피플팀장
HR LEAEDERS 1기
이인규
프레시지 성과분석팀장
HR LEAEDERS 2기
김민교
힐링페이퍼 HR Lead
HR LEADERS 3기
권소라
째깍악어 피플팀 리드
HR LEADERS 3기
윤혜림
빙그레 인재육성팀장
HR LEADERS 2기
이소영
파괴연구소 경영전략팀장
HR LEADERS 3기
정은혜모더레이터
원티드랩 Chief Editor
최유정모더레이터
비바리퍼블리카 온보딩 담당자
HR AMBASSADOR 5기
김하솜모더레이터
버킷플레이스 Recruiting Manager
HR AMBASSADOR 5기
박지현모더레이터
CJENM 인사운영팀
HR AMBASSADOR 5기
송지우모더레이터
히츠 경영지원팀
HR AMBASSADOR 5기
이혜준모더레이터
그린랩스 리크루팅팀
HR AMBASSADOR 5기
카카오인베스트먼트, CJ올리브네트웍스,
더핑크퐁컴퍼니, 브랜디, 빙그레
다양한 기업의 HR 리더분들과
준비한 세션을 확인해보세요.
이번 컨퍼런스에선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패널토론
우리가 리더로 성장하기 까지
Session 1-1
제도보다 구조
Session 1-2
경제불황기의 피플매니징
Session 1-3
성장하는 스타트업의 HR이 일하는 방식
패널토론
HR 기초 단단하게 설계하기
Session 2-1
글로벌 기업들의 인재확보 인사이트
Session 2-2
M&A를 통한 인재확보
Session 2-3
중소기업의 현실-하다하다 안될 때
패널토론
누구보다 절실하게 인재확보하기
Session 3-1
팀장 완결형 절대평가 및 예산 책임 보상
Session 3-2
조직 인센티브 설계하기
Session 3-3
IT기업의 작동하는 평가제도 만들기
패널토론
평가/보상의 공정성과 형평성
Session 4-1
구성원들과 함께 스타트업 미션 비전 만들기
Session 4-2
최고의 스타트업을 만드는 HR 매니지먼트
Session 4-3
극도로 솔직한 스타트업의 리더십
패널토론
스타트업 HR만의 차별점
Session 5-1
더 늦기 전에, 체계 잡기 첫 스텝
Session 5-2
HRDer가 고민하고 생각하는 것들
Session 5-3
조직내 커뮤니케이션, HR은 리더가 아닌데 해야 하나요?
패널토론
HR에 다른 시각 더하기
패널토론
일 잘하는 HR, 성장하는 HR의 길
하단 세션 버튼을 눌러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모더레이터
정은혜
토론자
이수연, 윤혜림, 김민교
처음부터 리더였던 사람이 있을까요? 지금 조직의 HR 책임지고 있는 이들도 HR을 시작하던 시절에는 허둥지둥 막막하기만 했습니다. 20년 경력을 쌓는 동안 힘든 순간이 많아서 멈추고 싶을 때도 많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를 지탱해준 힘이 뭘까요? 나를 리더로 성장시킨 나만의 필살기, 다른 직무가 아닌 HR이기에 꼭 필요한 진정성, 그리고 여전히 어려운 HR. 그 이야기를 솔직하게 나눴습니다.
이수연
현) VTPL Chief Operating Officer
전) 고위드 HR Director
LG이노텍 HR Professional
HR LEADERS 1기
스타트업과 같은 초기 체계를 잡아가는 조직에서 HR은 인사업무와 제도를 열심히 만들려 하기 보다는 조직 전체의 문제와 일하는 구조를 만들어가는 게 선행될 필요가 있습니다. 인사담당자라는 말과 인사일에 매몰되면 자칫 열심히 체계를 잡는다는 명목 하에 인사만의 리그가 되고 정작 현업엔 혼란과 부담을 주기 쉽기 때문이죠. 일하는 구조와 사람을 통해 조직의 문제를 해결해 가는 것이 HR이 잊지 말아야 할 본질일 지 모르겠습니다.
박형민
현) 카카오인베스트먼트 경영지원실장
전) NHN 인사파트장
전) LG 인사팀
HR LEADERS 3기
코로나 팬더믹에 연이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발발은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의 저성장이라는 악재를 등에 업고 글로벌 경제불황기의 시작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불황기에 대처하는 기업의 전략은 각기 처한 상황과 여건에 따라 다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을 과거 수차례의 경제위기에 대처하는 기업들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간접 혹은 직접 경험하였습니다. 글로벌 경제불황이라는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경영전략의 변화에 맞춘 HR전략을 함께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최정호
현) 더핑크퐁컴퍼니 CLO
전) 쿠팡 리크루팅 매니저
전) 신세계 HR 매니저
HR LEADERS 1기
글로벌 패밀리 엔터테인먼트 기업 더핑크퐁컴퍼니가 전 세계 유튜브 조회수 1위를 넘어, 세계 최초로 100억뷰를 달성한 원동력에는 자율적인 업무환경과 수평적인 조직문화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구성원 개인의 성장이 기업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더핑크퐁컴퍼니만의 HR을 소개합니다.
모더레이터
최유정
토론자
이수연, 박형민, 최정호
HR 구조와 설계를 한다는 것은 어렵지만 중요한 일입니다. 구조와 설계를 잘 구축하는 것을 넘어서서 실제 조직에서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이야기합니다.
허상범
현) TDCX 인사총괄
전) Corning, Amazon, Nuance 현지 인사 담당
전) Abbott, IBM, Infosys 현지 인사 프로젝트 근무
전) 국내 Tesco, Miso 근무
HR LEADERS 2기
글로벌 기업들이 해외에 잘 적용했지만 국내에 적용 안 한 제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제조, 유통 같이 전통 업계에서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느린 근면성실한 인재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빠른 변화의 High Tech 업계에서는 과감한 투자로 Specialist를 유치하며 데이터 기반으로 접근합니다. 고객 맞춤형 BPO 업계에서는 고객에 근접하고 고객사 맞춤형 인재로 양성합니다. 이에, 각 업계에서 잘 적용된 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5가지 주요 Best Practice를 추천 드립니다.
고대경
현) 브랜디 피플실장
전) 코인원 피플팀장
전) 포스코ICT HR과장
HR LEADERS 2기
채용도 큰 범위에서는 인력확보의 한 종류입니다. 인력확보라는 측면에서 M&A를 바라보고자 합니다. M&A는 HR역할이 매우 중요하지만 많은 기업에서 여러이유로 HR 참여없이 M&A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요즘 스타트업 씬에서 인수합병이 많아진 만큼, HR이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지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김선영
현) 지란지교소프트 피플팀장
전) 플랜비디자인 수석컨설턴트
HR LEADERS 2기
우리 회사 좋은데, 참 좋은데 알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사업특성상 일반 지원자에게 인지도도 없고, 광고홍보의 총알 대결에서 큰 기업들을 당해낼 재간이 없습니다. 채용사이트 유료공고, 헤드헌팅, 학교인턴제 참여 등 할 수 있는데 까지 해보다 안될 때, 이렇게 해봤습니다.
모더레이터
김하솜
토론자
허상범, 고대경, 김선영
인재전쟁이라는 용어가 있을 만큼 채용이 기업 성장에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중요한 채용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채용 전문가분들과 이야기하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임상은
현) D&O인사팀장
전) S&I Corp.(구 서브원) 인사기획팀장
전) LG전자 HR팀
HR LEADERS 2기
평가/보상제도에 정답이 있을까요? 지구상에 완벽한 제도는 없습니다. 물론 제도 설계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지속적으로 운영하느냐가 핵심! 모든 권한과 책임을 현업 팀장에게 주고, 그들이 주도적으로 성과관리합니다. 그래서 조직과 구성원 모두가 성장하는 모습을 지향합니다.
안형준
현) CJ올리브네트웍스 인사혁신팀장
HR LEAEDERS 1기
많은 기업에서 운영하고 있는 성과급에 대해 공정성 또는 적정성이 이슈 되는 요즘, 대표적 성과급 제도인 조직 인센티브를 신설하거나 개선을 검토하는 HR담당자들에게 과연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현실적인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도움드리고 싶습니다.
이현준
현) 알티모빌리티 HR팀장
전) 휴맥스 HR팀
HR LEADERS 3기
성과 관리, 평가제도 트렌드의 변화와 함께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제도를 시도 하나, 기대와 달리, 조직 내에서 작동하지 못하고 실패하고는 합니다. 우리 기업에 맞는 평가제도는 과연 무엇인지 함께 생각해보고, 특히, IT기업의 평가제도 설계 사례 공유를 통하여 생생한 성과관리와 관련된 고민을 함께 나누어 보고자 합니다.
모더레이터
박지현
토론자
임상은, 안형준, 이현준
직장인들에게 중요하게 작용하는 가치관은 공정성과 형평성일 겁니다. 평가와 보상에 대한 요구 또한 공정성과 형평성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패널토론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시간으로 준비했습니다.
방성환
현) 휴레이포지티브 피플팀장
전) 현대모비스 인사운영팀장
<굿피드백 팀장은 F.A.C.T로 말한다> (공저)
HR LEADERS 1기
창업한지 10년이 지난 스타트업이 투자를 받으면서 더 큰 꿈을 꿀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새로운 꿈을 실현하기 위해 미션, 비전, 인재상을 다시 정립했던 과정을 소개해 드립니다. 비슷한 고민을 하는 스타트업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준비 과정과 구성원들의 반응, 다시 시도한다면 보완할 내용까지 공유드립니다.
이인규
현) 프레시지 성과분석팀장
전) 허닭 인사총무팀장
<최고의 나를 만드는 커리어 매니지먼트> (공저)
HR LEADERS 2기
최고의 스타트업이 되기 위해서는 뒤따르는 직원보다는 적극적인 협력자가 필요합니다. 구성원들을 적극적인 협력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3가지의 제공이 필수적입니다. '그라운드 룰, 일의 의미, 올바른 피드백 부여' 이 3가지 제공 요소에 실제 조직 사례를 입혀 원티드 가족 여러분들께 살며시 다가가보고자 합니다.
김민교
현)힐링페이퍼 HR Lead
전)현대두산인프라코어 HR Manager
HR LEADERS 3기
연령도 성향도 다양한 창의적인 인재를 리딩하는 스타트업의 리더십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리더십을 발휘하기 전 준비해야 하는 것, 리더십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한 방법 및 상황별로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여 동료들의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방법에 대해 살펴봅니다.
모더레이터
송지우
토론자
방성환, 이인규, 김민교
많은 스타트업 HR을 보면 사수도 없고 넓은 범위의 업무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HR담당자로서 답답한 경험을 한 번 이상은 했을 겁니다. 이번 패널토론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전문가분들의 이야기로 준비했습니다.
권소라
현) 째깍악어 피플팀 리드
전) 제로파이터즈 Co-founder & 운영총괄
HR LEADERS 3기
많은 조직, 특히 스타트업 구성원들이 호소하는 어려움 중 하나가 “회사에 체계가 없다”는 겁니다. 그런데 체계란 것이 참 모호하고 어렵습니다. 체계는 무엇이고, 왜 체계가 없는 게 문제가 될까요? 체계는 어떻게 만들고,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체계가 없어 고민인 분들을 위해 창업 경험과 시리즈 B 스타트업에서의 팀 구축 경험을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윤혜림
현) 빙그레 인재육성팀장
HR LEADERS 2기
HRD에 뜻이 있다면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막상 뛰어들어 보면 깊은 고민을 하게 하는 HRD. 20년 가까이 HRD를 하고 있지만, 아직도 어려운데요, 이런 저는 어떤 고민과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저의 경험과 생각을 동료 HRDer와 나누고자 합니다.
이소영
현) 파괴연구소 경영전략팀장
전) 오비고 경영전략팀
전) 신동아건설 인사총무팀&감사실
HR LEADERS 3기
회사의 초기 세팅부터 함께했다 보니, 정말 많은 시행 착오를 겪었습니다. 시행착오를 겪으며 변화 관리의 중심에 있었던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이야기 해 보고자 합니다. HR으로서 할 수 있는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을 알아보고 이를 활용한 인사 전략을 공유합니다.
모더레이터
이혜준
토론자
권소라, 윤혜림, 이소영
내부 고객인 구성원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HR 시각을 넘어서서 다른 직군의 니즈를 파악해야 합니다. 어떻게 하면 구성원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그들이 원하는 방향을 이루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이야기 나눠보고자 합니다.
모더레이터
정은혜
토론자
최정호, 임상은, 권소라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일 잘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HR도 마찬가지겠죠. 그런데 HR이 일을 잘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리더로 성장하길 원하는 HR이라면 어떤 경험을 쌓고 역량을 키워야 할까요. 한 회사에서만 HR을 경험하고 있나요? 이미 여러 조직을 다니셨나요? 아니면 커리어 시작이 HR이 아니었나요? 다양한 경로의 커리어를 쌓아온 리더들이 밝히는 HR 성장법을 지금 공개합니다.